The Diagonal

카페 (슬래쉬) 살롱

Two cousins approached us with the goal of opening a cafe and a hair salon under a single brand name. The challenge was to physically separate the two businesses to meet building codes, while also creating a unified brand identity.

We employed diagonals as a spatial tool to achieve this balance. The partition wall between the cafe and salon was made of a combination of birch wood panels and glass, with the entrance being entirely glass. As one moves further inside, the height of the wood panels gradually increases, gradually dividing the two spaces.

The floor plan also incorporates diagonal elements. The entrance to the salon is intentionally small, emphasizing the private, one-on-one experience it offers. As one moves inside, the salon gradually becomes wider, eventually matching the width of the cafe to accommodate the needs of both businesses. In contrast, the facade of the cafe is wider, gradually decreasing in width as one moves further inside.

Through the use of diagonal elements, we created a dynamic and visually tense space that integrates the two businesses and fulfills their programmatic requirements. Visitors will experience this unique energy when they enter the space.

partition_early study model
partition & counter_model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partition wall dividing cafe and salon
cafe counter elevation

사촌지간인 두 명의 클라이언트는 하나의 브랜드 아래, 카페와 헤어 살롱을 열고자 우리를 찾아왔다. 두 가게는 ‘미용실’과 ‘일반음식점’이라는 업종 각각의 법적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공간적으로 명확히 ‘분리’되어 있으면서도, 동시에 하나의 브랜드를 가진 가게들로써 ‘연결성’과 ‘결속력’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공간을 만들어내기 위해, 우리는 사선 diagonal이라는 도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파티션은 입구 부분에서는 전면 유리로 되어있으나, 내부로 진입해 들어갈수록 점점 솟아오르듯 높아지는 목재 파티션에 의해 ‘살롱’과 ‘카페’의 시각적 연결성은 점점 약화되고, 두 공간은 점점 더 명확히 분리된다. 이러한 사선 diagonal의 장치 ㅡ 공간의 내부로 진입할수록 넓어지도록 계획된 평면, 그리고 내부로 진입할수록 닫히도록 계획된 입면 ㅡ 는 방문객이 공간을 좀 더 역동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살롱’은 주말에만 운영되는 일인미용실로서, 요구되는 프로그램이나 이용고객의 수에 있어 일반적인 미용실과는 차이가 있었다. 일인미용실이라는 공간이 갖는 ‘private’한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입면에 상대적으로 좁은 출입구를 두어, 넓은 파사드를 갖는 카페와는 대조되도록 하였다.  ‘살롱’ 출입구의  좁은 폭은 내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져서 궁극적으로는 ‘카페’와 대등한 공간의 폭으로 변화해 가는데, 이는 대기 공간 – 헤어스타일링 공간 – 카운터 – 샴푸실 등으로 이어지는 프로그램의 공간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카페’의 출입구는 중앙에서 왼쪽으로 비켜난 부분에 위치하고, 방문객은 사선방향으로 진입해서 대기석 및 카운터 – 2층 연결계단에 다다르게 된다.

‘카페’의 1층은 테이크 아웃 손님용 대기공간 및, 바리스타와 고객이 대면할 수 있는 바 카운터 좌석 등 단시간 이용고객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하였고, 2층은 좀 더 오래 머무르기를 위한 손님을 위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또한 ‘살롱’이나 ‘카페’에서 주최하는 특별 이벤트를 위해서, 소규모/중규모 단체를 위한 좌석배치가 가능하도록 고려하였다. 2층의 남쪽 창가는 햇빛과 공원의 자연이 풍부하게 들어서 밝고 활기찬 분위기인 반면, 사선형 파티션 너머의 내부공간은 조도를 낮추어 아늑하고 차분한 분위기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이는 공적이면서 사적인 공간으로서의 카페의 특수성과 카페를 찾는 이용객의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욕구를 반영한 것이다.

Project  The Diagonal

Year  2016

Program  Cafe, Hair Salon

Area  ??? m²

Scope   Interior Design

Status   Completed

Location  Gangseo-gu, Seoul, Korea

Design Team  Okhyun Kim with AbCT